
넷플릭스 측이 K-콘텐츠 제작비 상승에 이슈를 언급했다.
오늘(21일) 서울 종로구 광화문 인근에서 ‘넷플릭스 인사이트’ 세션이 진행됐다. 행사에는 방송통신대학교 미디어영상학과 이성민 교수와 강동한 넷플릭스 한국 콘텐츠 부문 VP가 패널로 참여했다.
이 교수는 글로벌 시청자들이 K-콘텐츠를 접하는 주요 서비스에 넷플릭스가 상당한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것에 주목했다. 이를 통해 “한류의 적용 범위와 국가 브랜드에 미치는 영향이 증가하고 있으며, 넷플릭스를 통해 우리도 몰랐던 한국의 강점과 문화적 매력을 세계에 알리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한국개발연구원(KDI) 분석에 따르면 한국 콘텐츠가 국가 경제의 핵심 성장 동력으로 자리 잡았으며, 콘텐츠 수출은 2010년 이후 11년간 약 4배 증가했다. 통계 집계 이후 매년 최고 기록을 갱신하고 있는 것을 밝혀 주목을 모았다.
지난 2023년, 넷플릭스는 ‘K-콘텐츠’에 향후 4년간 25억 달러 규모 대규모 투자를 단행한다고 밝힌 바. ‘오징어 게임’ 시리즈를 비롯해 수많은 양질의 콘텐츠가 글로벌 시청자들의 사랑을 받았으나, 이로인해 콘텐츠 제작비가 너무 큰 폭으로 상승했다는 비판이 일기도 했다.
이에 대해 이 교수는 “콘텐츠 제작 시장에도 회복탄력성이 있다고 본다. 지금은 조정의 과정이라고 생각한다. 시장이 크게 성장했을 때마다 위기론이 대두됐는데, 중국에서의 한류가 유행할 때도 배우들의 출연료 문제가 나오기도 했다. 그럴 때 웹드라마 제작사들이 나오고 신인을 발굴하는 시기가 나왔다. 넷플릭스가 글로벌로 갈 수 있는 문을 열었고, 밑단에서 벌어지는 작고 새로운 시도들을 찾아야 할 때라고 본다”고 견해를 밝혔다.
그는 “그런 의미에서 봤을 때는, 제작비 상승이 무조건 나쁜 건 아니다. 예전에는 한국 콘텐츠가 7~8년전 까지만 해도 외국에서 공짜로 보는 콘텐츠였다. 돈 주고 보지 않았다. 불법으로 유통이 되기도 했던 콘텐츠였다”며 “이젠 한국 콘텐츠는 외국에서 돈 주고 보는 프리미엄 콘텐츠가 됐다. 큰 문이 열렸고 격이 상승했다고 본다. 그런 의미에서 기회들이 지금도 생기고 앞으로도 생길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그런 프리미엄 콘텐츠에 대한 기대를 충족시키기 위해선 필수불가결하게 투자가 들어가야하는 부분들이 있다. 설득력 있게 세상에 내놓기 위해 투자해야하는 부분들이 있다”고 덧붙였다.
이현승 기자
bnt뉴스 연예팀 기사제보 star@bntnews.co.kr